오 정 석
이 종 호
김 영 민
최 완
이 경 한
전 세 영
이 충 웅

전자공학
1972년 동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8년부터 1964년까지 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1966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1991년부터 1997년까지 서울대학교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였다.
성 굉 모

음향공학
1982년 독일 아헨공대에서 음향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교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였다.
이 상 욱

신호처리
1980년부터 1981년까지 미국 GE사에서 디지털 이동통신 장비 개발에 참여하였고, 1981년부터 1983년까지 M/A-COM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1983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교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였다.
이 병 기

정보통신
미국 그랜저 어소식 통신회사와 AT&T의 벨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1986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한 이후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장, 서울대학교 연구처장을 역임하였다. JCN을 공동으로 창립하였고, ABEEK 부회장, KSEE 회장, KICS 회장, 바른과학기술사회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 초대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 위원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법무부 정책위원회의 위원,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이 재 홍

디지털통신, 채널부호화이론, 이동통신
1978년부터 1981년까지 해군사관학교에서 전자공학 교관으로 근무하였다. 1987년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에 부임하여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학과장을,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생담당부학장을 각각 역임하였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대학교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학부장과 서울대학교 두뇌한국(BK21) 정보기술사업단 단장을 역임하였다.
김 태 정

신호처리
1976년 서울대학교에서 전자공학부 학사학위를 거쳐,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전기 및 전자공학 석사학위를, 미시간 대학에서 전기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전자통신연구소에서 근무하였고, 박사학위 취득 후 1986년부터 1988년까지 Murray Hill 의 AT&T Bell 연구소에서 MTS로 재직하였다. 1988년부터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의 교수로 부임하였다.
이 용 환

전자공학(통신)
1980년에서 1985년까지 한국국방과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며 소형 고속정 사격통제장치 개발 팀장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1989년부터 1994년까지 미국 모토로라사의 책임연구원으로서 고속 데이터 모뎀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연구 개발에 참여하여 세계 최초 상용 모뎀을 개발하였다. 1994년에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교수로 부임했고, 2001년 뉴미디어공동통신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였다.